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만인소> 1855 만인소> 만인소 참여 인물

만인소 관련 자료

1855년 사도세자 추존 만인소의 관련 자료
1855년 1월 안동의 병산서원屛山書院과 호계서원虎溪書院에서는 정조 이후 처음으로 장헌세자의 존호를 더하여 올린다는 소식을 듣고 도산서원에서 유회儒會를 갖기로 제안하였다. 이에 도산서원에서는 두 서원에서의 발의에 동참하여 1855년 1월 27일에 사도세자의 신원과 추존 상소를 논의하는 모임을 갖기로 하고, 이를 안동부安東府 내에 통보하였다. 1월 27일 도산서원에 90여 명의 유생이 모인 가운데 상소의 소수로 소계素溪 이휘병李彙炳을 선발하였다. 이휘병은 퇴계 이황의 후손으로 현감 이이순李頤淳의 아들이었으며, 동생 이만희李晩憙가 퇴계의 종손으로 입후되는 등 이휘병 일가는 당시 예안의 진성이씨 가문에서 핵심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 날 향회鄕會에서는 안동 지역 유림들의 뜻을 영남 열읍에 알리고, 나아가 더 많은 공론을 모으기 위해 2월 20일 안동향교에서 도회道會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2월 20일 도회는 이튿날인 21일 안동 강무당講武堂에서 200여 명의 유생들이 모인 가운데 개최되었다. 1855년 1월의 도산서원 향회에서는 사도세자의 추존에 대한 사안이 중심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당시에는 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된 전모를 밝혀 책임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임오의리의 문제를 다시 제기하고자 했다. 하지만 공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쟁점을 제기할 경우 그들의 의도와는 달리 다른 사태가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장조 추상존호 옥책

장조 추상존호 옥책(1855)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철종 6년(1855) 1월 21일, 철종이 장조(莊祖, 1735~1762)에게 ‘찬원헌성 계상현희(贊元憲誠 啓祥顯熙)’라는 존호를 올리면서 바친 옥책

실제 2월 20일 도회에서는 임오의리를 제기하는 중대한 사안을 1~2명이 발기하여 논의하는 것은 공의公議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되었다. 또한 논의 과정에서 책임 문제를 다시 거론할 경우 의도와 달리 다른 사태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그들은 정치적 쟁점에 연루되는 것을 꺼려했던 것이다. 그래서 결정된 것이 사도세자를 왕으로 인정하는 조치를 청원하는 것이었다. 또한 공론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받아들여 각 진관의 열읍에서 더 많은 공론을 취합한 후 유소儒疏에 동참하는 소유疏儒들의 명첩名帖을 작성하여 3월 10일 상주향교에서 다시 도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상주 도회는 감영 향시鄕試로 인하여 날짜를 3월 25일로 변경하였다가, 다시 도산서원에서 제안하여 최종적으로 3월 15일 안동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다.

3월 15일 안동 강무당에서 100여 명의 유생들이 모여 두 번째 도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정치적 부담으로 인하여 영남 유생들이 유소 참여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대부분이 안동진安東鎭 관내 고을의 유생들만이 참석하였고, 다른 경주, 상주, 진주진관에서는 참석하지 않았다. 나아가 소유의 명함名銜 역시 안동진에서만 가져왔다. 이에 공사원 류정진柳禎鎭이 신해소록辛亥疏錄을 참고하여, 소록을 개정하자고 제안하였고, 이휘녕李彙寧 또한 각 읍의 소유를 대읍은 20인, 중읍은 7~8인, 소읍은 3~4인으로 신해 소록을 참고하여 더하거나, 수정하거나, 빼는 법식에 의거하여 파정爬定하자고 제안했다.
사도세자 추존만인소
사도세자 추존만인소

이휘병(李彙炳)을 대표로 하는 10,094명의 영남 지역 유학 지식인들 / 1855년 / 한지, 세로 111.0×가로 9,650.0cm의 상소 / 도산서원운영위원회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존하고 1792년 만인소에 대한 정조의 약속 이행을 요구한 상소문, 10,094명의 연명 및 수결

참판류치명상소(參判柳致明上疏)
참판류치명상소(參判柳致明上疏)

미상 / 미상 / 27.7×44.0cm / 풍산김씨 영감댁
사도세자 추존 만인소의 발단이 된 류치명의 상소와 대사간 박래만의 상소, 우의정 조두순의 차자와 비답을 필사한 것이다. 이 상소들이 제척(除斥)되자 영남에서 본격적으로 1855년 영남만인소가 결정되고, 봉납되었다.

통문 61
통문 61

미상 / 1849년 / 25.0×36.0cm / 풍산류씨 화경당
1855년 사도세자 추존만인소를 올리기 위하여 돌린 통문이다. 이 통문을 돌리고 난 다음 소청을 설치하고 상소를 조직하였다. 통문을 돌리는 주체는 확인되지 않는다.

통문 83
통문 83

미상 / 1851년 / 89.5×66.0cm / 풍산류씨 화경당
1855년 사도세자 추존만인소와 관련된 통문이다. 1851년 발행된 것으로 2월 10일 향회, 22일 도회를 열 계획이었으나 날짜가 너무 촉박하므로 22일 향회를 열 것이니 참석을 하라는 요청이다. 상소의 준비과정에서 치밀한 조율이 필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을묘일기(乙卯日記)
을묘일기(乙卯日記)

이휘준 / 1855년 / 필사본, 30.5×19.0cm / 진성이씨 향산고택
1855년 2차 사도세자 만인소가 일어나게 된 배경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앞에는 서준보, 류치명, 박동만 등의 상소와 차자를 실었고, 뒷부분은 상소일기이다. 사도세자 추존만인소의 전 과정을 알 수 있는 기록이다. 작성자는 이가순의 아들 복재(復齋) 이휘준(李彙濬)으로 판단된다.

소행일록(疏行日錄)
소행일록(疏行日錄)

김영락 / 1855년 / 필사본, 28.7×18.0cm / 안동김씨 삼소재종가
1855년 사도세자 추존만인소의 상소일기이다 앞부분에 서준보, 권재대, 류치명 등의 상소를 수록하였고, 뒤에 일기를 수록하였다. 일기 뒤에 유소에 참여하였던 소임유생들의 명단을 수록하여 참여자들을 알 수 있다. 당시 한양에 입성하고 난 다음 소청을 방문하였던 인사들의 명단도 수록하여 참여규모를 알 수 있다. 삼소재 가문의 김영락에는 ⊙표를 하여 이 가문의 인사가 참여하였음을 표시하였다. 김영락이 원본 상소일기를 필사하고, 자신과 관련된 내용을 추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임오화변 당시 호당과 역당을 구별하여 성명을 적시하여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소청일기(疏廳日記)
소청일기(疏廳日記)

미상 / 1855년 / 필사본, 22.5×20.0cm / 경주최씨 질암종중
1855년 1월 26일부터 5월 16일까지 만인소를 올리기 위해 소청을 설치하고 상소문 작성 등 경과를 기록한 것이다. 상소를 올리기 위해 유생들이 임시로 특정 장소에 소청을 설치하고, 소청의 장을 뽑고, 상소문 초고를 작성하고, 그것을 교열하는 과정을 거쳐 상소문이 완성되어 상소문을 올리러 간 일까지를 기록하고 있다. 상소의 내용은 이휘병(李彙炳)을 소수로 하여 장헌세자(莊憲世子: 사도세자)의 참사가 있은 지 120년이 지나도록 신원(伸冤)하지 못했다하여 추존(追尊)을 요청하는 것이다. 일기의 처음에는 소청에 참여한 유생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는데 강주영(姜冑永), 노성순(盧性純), 조현기(趙鉉基), 강운흠(姜運欽), 여사철(呂思哲) 등이다.

소청일록(疏廳日錄)
소청일록(疏廳日錄)

미상 / 1855년 / 필사본, 25.0×24.0cm / 나주정씨 호암종택
1855년 사도세자 추존만인소의 상소일기이다. 가장 원본에 가까운 형식으로 보인다. 아직 정서하기 전의 형태이다. 문경에 소청을 설치하게 된 배경과 서준보, 류치명의 상소를 실었고, 별지로 방문록이 있다. 최초의 작성본으로 판단된다.